신라왕궁 발굴주체, 문화재청이 答辯해야 > 사설

본문 바로가기


사설
Home > 사설 > 사설

신라왕궁 발굴주체, 문화재청이 答辯해야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4-11-11 19:51

본문

 경주 신라왕궁복원 발굴 주체를 놓고 문화단체와 정치권, 시민들 간 논쟁이 뜨겁다. 제대로 발굴하기도 전에 암초를 만남 셈이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이 문제는 깔끔하게 선을 그어놓고 일을 시작하는 것이 옳다. 왈가왈부 설전(舌戰)으로 인해 왕궁복원이란 대역사(役事)가 출발부터 방향을 잃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지난 9일 정수성 국회의원은 "왕궁복원 발굴에는 다수 기관이 유적지에 투입돼 조속한 발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날 한국고고학회와 한국고대사학회를 비롯한 역사·고고학 관련 11개 단체가 "부실발굴을 막고,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려면 국가연구기관이 조사를 전담해야한다"고 밝힌 것에 대한 반박이었다.
 그런데 지난 1990년대 중반부터 문화재청이 법인으로 허가한 매장문화재 발굴 전문기관은 경북에만 18곳이 있다. 이렇게 되면 이들 기관의 존재가 모호해진다. 그리고 당장 정치권에 불똥이 떨어졌다.
 한 기관이 전담할 경우 속도가 느려 편성된 예산을 제때 쓸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 해로 이월되면 차기 예산은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정 의원은 "이들 기관을 전문성이 있다고 인정해주고도 부실, 비전문기관으로 매도한 것은 문화재청의 정책 실패이거나 특정단체를 밀어주기 위해 정부가 편의제공을 한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경주지역 문화단체들도 즉각 반기를 들었다. 문화원장 등 경주지역 10여 개 문화단체는 지난 10일 "고고학회 등에서 '월성 발굴조사를 속전속결로 추진하고 문화재를 파괴한다'는 이분법적 표현은 언어폭력을 넘어 문화재 보존에 앞장서 왔고 그로인한 피해와 생활의 불편을 수대에 걸쳐 감수하며 살아온 경주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그렇다고 유적발굴에 무작정 속도를 낼 수는 없다. 중국 진시황릉 발굴은 1974년 시작됐지만 무덤은 아직 발굴되지 않고 있다. 중국 당국은 유물을 훼손하지 않고 발굴하기엔 아직 기술과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로마의 도심지도 1870년대부터 발굴되기 시작했으나 아직까지 고고학자들의 붓질은 계속되고 있다. 이처럼 유적발굴에는 그 진정성이 훼손되지 않아야하고, 충분한 고증을 거쳐야 함은 두말 할 나위없다.
 그렇다면 신라왕릉 발굴주체 논쟁의 핵심은 좁혀졌다. 국가기관 이외 단체들이 과연 이 정도의 역량을 가졌는지 여부만 판단하면 된다. 결국 문화재청이 승인해 준 기관인 만큼 문화재청이 여기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내려야 한다.
 민족적 대형 프로젝트를 앞에 두고 출발부터 삐걱거려서야 되겠는가.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울릉·독도 신문. All rights reserved.
뉴스출처 : 경북신문 (www.kbsm.net)